본문 바로가기

aws

(3)
[SpringBoot] SpringBoot로 AWS S3 Bucket에 이미지 업로드 본격적으로 프로젝트에서 이미지를 S3 bucket으로 업로드 하기 위해 업로드 테스트 스크립트를 작성해 보았다. 1. bulid.graddle //aws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starter-aws:2.2.6.RELEASE' implementation "com.amazonaws:aws-java-sdk-s3:1.12.395" aws 관련 implementation을 추가해 주었다. 2. application.yml # multipart 설정 spring.servlet.multipart.max-file-size: 10MB spring.servlet.multipart.max-request-size: 10MB # aws 설정 cloud:..
[AWS] AWS S3 Access Key 발급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SpringBoot에서 s3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Access Key를 발급해 보았다. 1. AccessKey 발급 registry로 image를 띄우기 위해 AWS홈페이지에서 Access Key를 발급받아 보았다. AWS페이지 우측 상단에서 닉네임을 클릭한 후 보안 자격 증명을 클릭한다. IAM에서 사용자 추가를 하지 않고 Access Key를 발급을 시도하였지만, 권한 정책에서 루트 사용자를 지정할 수 없으므로 권한을 제한할 수 없다는 경고문이 떠, IAM에서 사용자를 추가하기로 하였다. 다시 돌아와 좌측 메뉴에서 엑세스 관리 - 사용자를 클릭한다. 사용자 추가를 눌러 사용자를 추가해준다. 사용자 이름을 설정하고 다음을 누른다. 권한 옵션에서 직접 정책 연결을 설정한다. 그 ..
[AWS] AWS S3 버킷 만들기 팀 프로젝트에서 이미지를 업로드 해야 하는 과정이 있는데, 팀 내 인프라 담당이기 때문에 AWS S3 버킷 생성을 시도해 보았다. AWS S3은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의 약자로,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중 하나이다. 데이터는 “버킷”이라는 리소스에 객체로 저장되며, 한 객체의 크기는 최대 5TB까지 가능하다고 한다. 객체는 S3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액세스하거나 버킷 호스트 이름을 통해 직접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IAM, ACL, 버킷 정책 등 설정을 통해 S3내의 데이터에 엑세스 권한 설정을 할 수 있고, 데이터 처리나 전송 관련 기능도 제공한다고 한다. S3을 사용하면서, 필요한 설정이나 기능이 있다면, 아래 AWS 페이지와 구글링을 통해 보다 공부가 필요 할 듯..